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I 시대 포트폴리오 개발자·기획자·디자이너 버전 가이드

by 나인2 2025. 6. 24.

 

오늘은 ai시대 포트폴리오  개발자 기획자 디자이너 버전 가이드를 소개해드릴게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방식도 변하고 있습니다.
예전처럼 직접 하나하나 작성해 만드는 대신 지금은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를 활용해 시간단축도 물론  체계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완성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특히 개발자, 기획자, 디자이너처럼 디지털 산업 중심의 직무를 가진 사람들은 AI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더욱 전략적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 직군별로 AI를 활용한 포트폴리오 제작 방법과, ChatGPT로 이력서 자동 생성하는 방법, AI가 직접 평가하는 포트폴리오 진단 팁까지 함께 소개해드릴게요 

AI 시대 포트폴리오 개발자·기획자·디자이너 버전 가이드
AI 시대 포트폴리오 개발자·기획자·디자이너 버전 가이드

직군별 포트폴리오, 어떻게 구성해야 할까?


AI를 사용하든 수작업을 하든, 기본은 직무에 맞는 구조와 컨텐츠를 갖추는 것입니다.
각 직군별로 요구되는 방식은 다소 다르므로, 공통과 차별화 포인트를 나눠보겠습니다.

 

개발자: 코드보다 커뮤니케이션 중심으로
GitHub 링크는 기본, 코드 외에도 협업 방식, 문제 해결 경험 강조

기술 스택은 단순 나열보다 ‘왜 이 기술을 선택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중요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디자인 협업, 백엔드 개발자는 API 설계 경험 포함 권장

 

→ AI 활용 팁은 ChatGPT에 “내 프로젝트 설명을 개발자 포트폴리오용으로 요약해줘”라고 입력하면, 비전공자나 비개발자도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리라이팅 가능

기획자: 논리 + 사용자 경험 중심
핵심은 기획 구조, 프로세스 문서화, 사용자 인터뷰 결과 포함

‘문서 작성’보단 ‘문제 인식 → 해결 프로세스’ 흐름 중심 정리

UX 리서치, 와이어프레임, 협업 툴(Figma, Notion, Jira) 사용 경험 강조

→ AI 활용은  "이 기획서 내용을 면접에 맞게 요약해줘"라고 ChatGPT에 요청 시, 핵심 키워드 위주 정리 가능

 

디자이너: 비주얼 + 스토리텔링
Behance, 개인 웹사이트, PDF 포트폴리오 등 비주얼 중심 구성

작업물만 나열하기보단 프로젝트의 목적과 디자인 의도, 피드백 반영 과정 설명

컬러 선택, 폰트, 레이아웃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이 필요

→ AI 활용 팁은 “이 프로젝트를 디자인 포트폴리오용 스토리로 써줘”라고 입력하면 설명문이 더 자연스러워짐

 

ChatGPT로 만드는 포트폴리오: 템플릿보다 똑똑하게


이제는 템플릿만 쓰는 시대가 아닙니다.

ChatGPT를 활용하면 포맷은 개인화하고, 내용은 체계화된 포트폴리오를 빠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

추천 사용 흐름
기본 이력 데이터 정리:
경력, 프로젝트, 사용 툴, 담당 역할 등을 메모장에 정리

ChatGPT 프롬프트 입력:
예) “이 경력을 바탕으로, IT 기획자 포트폴리오 소개 문단을 작성해줘”
→ ChatGPT가 초안 작성

 

피드백을 반복적으로 
“더 간결하게”, “디자인 관점에서 재작성해줘”, “면접관을 설득할 수 있게” 등
→ 원하는 방향으로 문장 리라이팅 가능

PDF or 웹 포트폴리오 완성:
최종 텍스트는 Notion, Figma, Webflow, Canva 등에서 시각적으로 구성

 

활용 예시
입력:
“3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React와 TypeScript를 사용해 사내 ERP 리뉴얼을 주도했습니다. 주요 성과는 성능 40% 개선, 유지보수 시간 30% 감소입니다.”

출력:
“사내 ERP 시스템의 리뉴얼을 주도하며 React와 TypeScript 기반 구조를 도입했습니다. 기존 시스템 대비 렌더링 성능을 약 40% 개선하였고, 코드 구조를 재정비함으로써 유지보수 시간을 약 30% 단축시켰습니다.”

이처럼 간단한 문장도 ChatGPT가 면접관 시선으로 재구성해줍니다.
직무에 맞는 표현력, 문장 구성, 키워드 중심 작성 능력은 AI가 훨씬 빠르게 보완해줄 수 있습니다.

 

AI로 내 포트폴리오를 평가받아보자


완성된 포트폴리오나 이력서, 혹은 자소서를 AI에게 검토 받는 것도 매우 유용한 방법입니다. 실제로 많은 채용 담당자가 AI를 활용해 서류 필터링을 시작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리 점검해보는 것은 전략적입니다.

활용 가능한 방법


ChatGPT 프롬프트 예시
“이 포트폴리오에서 부족한 점을 피드백해줘”,
“이 자기소개서를 마케팅 직무 기준으로 평가해줘”,
“이 내용이 비전공자가 이해하기 쉬운가?”

AI 기반 이력서 평가 도구 활용


Resume Worded, Teal, Kickresume 등의 무료 AI 기반 평가 툴도 존재
문장 가독성, 키워드 포함 여부, ATS(자동 필터링) 통과 가능성 등 진단 가능 

자가 프롬프트 평가 루프
① ChatGPT에 내 문서를 복붙
② “이 문서의 논리적 흐름을 평가해줘”
③ “현직자가 보는 시선으로 아쉬운 점을 알려줘”
→ 반복적 리디자인 가능

 

장점
객관적인 문장 평가 가능

직무별 키워드 누락 여부 확인 가능

중복 표현, 논리 누락, 구체성 부족 등 자동 피드백

무엇보다 ChatGPT는 ‘직무를 설정’해주면 그 관점에 맞게 평가해주기 때문에,
기획자 시선, 개발자 시선, 디자이너 시선 각각으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큰 강점입니다.

 

이제 포트폴리오는 혼자 만들지 않아도 된다
이제 포트폴리오 작성은 더 이상 혼자서 밤새워 고민할 일이 아닙니다.
AI와 함께 하면 구조는 더 논리적으로, 표현은 더 설득력 있게 만들 수 있으며,
시간도 훨씬 단축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음 세 가지 조합은 매우 강력합니다.

 

ChatGPT로 초안 작성

Notion·Figma 등으로 시각화

AI로 포트폴리오 자체 평가

 

이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스스로의 커리어를 돌아보는 기회가 되기도 하고
면접에서 자신 있게 설명할 수 있는 자료를 자연스럽게 갖추게 됩니다.

이 글을 계기로, AI를 활용한 나만의 포트폴리오 제작을 꼭 한 번 시도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당신만의 능력을 가장 똑똑하게 보여줄거라 기대합니다